제1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는 1920년에 실시되었으며, 중의원 의원 정수는 464석으로 증가했다. 선거 제도는 소선거구제를 기본으로 하되 일부 복수 선거구제를 병행했으며, 투표권은 직접 국세 3엔 이상을 납부하는 만 25세 이상의 남성에게 주어졌다. 선거 결과, 여당인 입헌정우회가 278석을 획득하여 압승을 거두었고, 헌정회는 의석이 감소했으며 입헌국민당은 29석을 얻었다. 투표율은 86.72%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20년 5월 - 1920년 5월 18일 일식
1920년 5월 18일 일식은 부분 일식으로, 1920년 일식 시즌의 일부이며, 5월 3일 월식과 2주 간격으로 발생했다. - 1920년 선거 - 1920년 미국 대통령 선거
1920년 미국 대통령 선거는 제1차 세계 대전 후 공화당의 워런 G. 하딩이 "정상으로의 복귀"를 내세워 승리한 선거로, 여성 유권자들의 첫 전국 투표 참여, 다양한 군소정당 후보 출마, 상업 라디오 방송의 선거 결과 중계 등 여러 특징을 가진다. - 1920년 선거 - 1920년 미국 상원의원 선거
1920년 미국 상원의원 선거는 공화당이 상원 의석을 대폭 늘려 민주당의 지배력을 약화시킨 선거였다. - 1920년 일본 - 실력양성운동
- 1920년 일본 - 하라 내각
하라 내각은 1918년부터 1921년까지 하라 다카시가 총리대신을 역임하며 시베리아 출병, 선거권 확대 등을 추진했고, 다이쇼 천황의 건강 악화와 관련된 문제들을 겪었다.
제1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
---|---|
선거 개요 | |
선거 이름 | 1920년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국가 | 일본 제국 |
선거 유형 | 의회 선거 |
선거 날짜 | 1920년 5월 10일 |
이전 선거 | 1917년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이전 선거 연도 | 1917년 |
다음 선거 | 1924년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다음 선거 연도 | 1924년 |
선출 의석수 | 464석 |
과반 의석수 | 233석 |
주요 정당별 결과 | |
![]() | |
정당 대표 | 하라 다카시 |
정당 | 입헌정우회 |
이전 선거 결과 (의석수) | 165석 |
당선 의석수 | 278석 |
의석 변동 | 113 |
득표수 | 1,471,728 |
득표율 | 55.77% |
득표율 변동 | 16.97pp |
![]() | |
정당 대표 | 가토 다카아키 |
정당 | 헌정회 |
이전 선거 결과 (의석수) | 121석 |
당선 의석수 | 110석 |
의석 변동 | 11 |
득표수 | 715,500 |
득표율 | 27.11% |
득표율 변동 | 8.83pp |
![]() | |
정당 대표 | 이누카이 쓰요시 |
정당 | 입헌국민당 |
이전 선거 결과 (의석수) | 35석 |
당선 의석수 | 29석 |
의석 변동 | 6 |
득표수 | 140,397 |
득표율 | 5.32% |
득표율 변동 | 4.36pp |
선거 전후 | |
직책 | 총리 |
선거 전 총리 | 하라 다카시 |
선거 전 정당 | 입헌정우회 |
선거 후 총리 | 하라 다카시 |
선거 후 정당 | 입헌정우회 |
2. 선거 제도
1919년 선거법 개정에 따라 중의원 의원 정수는 464석으로 증가하였다.[2] 선거구는 소선거구제를 기본으로 하되, 일부 복수 선거구제(중선거구제 및 대선거구제)를 병행하였다. 투표권은 직접 국세 3엔 이상을 납부하는 만 25세 이상의 남성에게 주어졌는데,[2] 이는 1917년 총선거의 10엔에서 감소한 기준으로,[2] 유권자 수가 크게 증가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여당인 입헌정우회는 278석을 획득하여 압승을 거두었다.[4] 이는 선거 전 의석보다 113석 증가한 수치이다. 제1야당인 헌정회는 110석으로 의석이 감소하였으며, 입헌국민당은 29석을 얻는 데 그쳤다. 무소속 의원은 48석으로 감소하였다. 투표율은 86.72%로, 이전 선거에 비해 5.20% 감소하였다.
3. 선거 결과
정당 의석수 입헌정우회 style="text-align: left; " 278석 헌정회 style="text-align: left; " 110석 입헌국민당 style="text-align: left; " 29석 무소속 style="text-align: left; " 47석 합계
3. 1. 지역별 결과 (한국과 관련 깊은 지역)
3. 1. 1. 규슈
규슈 지방에서는 입헌정우회가 대부분의 의석을 차지하는 압승을 거두었다. 후쿠오카현에서는 입헌정우회가 6석, 헌정당이 1석, 중정회가 2석을 차지했다. 구마모토현에서는 입헌정우회가 5석, 헌정당과 입헌국민당이 각각 1석을 차지했다. 가고시마현에서는 입헌정우회가 7석을 모두 차지하며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3. 1. 2. 주고쿠
주고쿠 지방에서도 입헌정우회가 강세를 보였다. 히로시마현과 야마구치현 등에서 입헌정우회가 다수 의석을 확보하며 우위를 점했다.
3. 1. 3. 시코쿠
시코쿠 지역 역시 입헌정우회가 우세했다. 에히메현, 가가와현 등에서 입헌정우회가 선전했다.
4. 주요 당선 의원
제1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의 주요 정당별 당선 의원은 다음과 같다.
=== 입헌정우회 ===
하라 다카시(이와테현 1구)는 입헌정우회의 총재였다. 간사장은 모치즈키 게이스케, 나가노현 10구에서 당선된 오가와 헤이키치등이 주요 의원이었다.
홋카이도 | 6구 | 오카다 이타로 | 7구 | 마츠미 키요타 | 이토 히로테키 | 8구 | 토부 | 오쿠보 토라키치 | ||||
---|---|---|---|---|---|---|---|---|---|---|---|---|
9구 | 키노시타 세이타로 | 10구 | 쿠리바야시 고사쿠 | 11구 | 쿠로즈미 나리아키 | 12구 | 나카니시 로쿠사부로 | |||||
아오모리현 | 1구 | 키타야마 이치로 | 3구 | 우노 유사쿠 | 4구 | 하라다 토지 | 5구 | 아베 타케오 | ||||
6구 | 노무라 지사부로 | 7구 | 우메다 키요시 | |||||||||
이와테현 | 1구 | 하라 게이 | 2구 | 스즈키 이와오 | 3구 | 쿠지 칸이치 | 4구 | 키쿠치 쵸우에몬 | 5구 | 히로세 타메히사 | ||
6구 | 시가 와타리 | 7구 | 사토 료헤이 | |||||||||
미야기현 | 1구 | 이자와 헤이자에몬 | 2구 | 스가와라 덴 | 3구 | 노소에 시게카즈 | 4구 | 나카지마 호로쿠 | 5구 | 사와 키타로 | ||
7구 | 엔도 료키치 | |||||||||||
아키타현 | 1구 | 다나카 류조 | 2구 | 이케다 카메지 | 3구 | 타카하시 모토키치 | 4구 | 나리타 나오이치로 | ||||
6구 | 사카키다 세이베 | |||||||||||
야마가타현 | 1구 | 토가리 켄노스케 | 3구 | 니시자와 사다키치 | 4구 | 타카하시 타츠지 | ||||||
5구 | 쿠마가이 나오타 | 츠루미 코타로 | 6구 | 타카하시 젠고로 | ||||||||
후쿠시마현 | 1구 | 타키기 사부로베 | 3구 | 호리키리 젠베 | 4구 | 카와구치 세이 | 8구 | 핫타 소키치 | 9구 | 시라이 히로유키 | ||
10구 | 마츠모토 마고에몬 | |||||||||||
이바라키현 | 1구 | 오야마다 신조 | 2구 | 야츠 신하치로 | 3구 | 네모토 타다시 | 4구 | 이시이 사부로 | ||||
5구 | 미야코 케이 | 6구 | 이치무라 사다조 | 7구 | 스즈키 죠조 | 8구 | 타카야나기 준노스케 | 9구 | 타카노 타케시 | |||
10구 | 고쿠보 키시치 | |||||||||||
도치기현 | 1구 | 우에타케 류자부로 | 2구 | 이시카와 겐조 | 3구 | 토모나가 곡삼랑 | 4구 | 하타노 죠고로 | 타무라 준노스케 | |||
5구 | 마츠오카 슌조 | 7구 | 요코타 센노스케 | |||||||||
군마현 | 3구 | 무토 킨키치 | 4구 | 이마이즈미 카이치로 | 5구 | 이마이 이마스케 | 6구 | 사이토 토시오 | ||||
사이타마현 | 1구 | 하타 토요스케 | 2구 | 카스야 요시조 | 3구 | 타카다 료헤이 | 하세가와 무네하루 | 4구 | 야마자키 타케시 | 5구 | 사시다 요시오 | |
6구 | 타츠노 슈이치로 | |||||||||||
지바현 | 1구 | 나카야마 사시 | 2구 | 요시우에 쇼이치로 | 3구 | 혼다 사다지로 | 5구 | 하마구치 키치베 | ||||
6구 | 우자와 소메이 | 7구 | 니시카와 요시카도 | 8구 | 스즈키 타카시 | |||||||
9구 | 타케자와 타이치 | |||||||||||
가나가와현 | 1구 | 와카오 이쿠조 | 5구 | 요시노 코이치로 | 6구 | 코시오 하치로에몬 | 7구 | 모리 카쿠 | ||||
야마나시현 | 2구 | 이이지마 노부아키 | 3구 | 아나미즈 요시치 | 5구 | 미에도 히코타로 | ||||||
도쿄부 | 6구 | 미야자키 산노스케 | 8구 | 타카하시 요시노부 | 10구 | 하토야마 이치로 | ||||||
13구 | 츠치야 오키 | 하세바 아츠시 | 14구 | 마에다 마이조 | 15구 | 나카지마 모리토시 | 16구 | 우치야마 야스베 | 아키모토 키시치 | |||
니가타현 | 2구 | 키무라 세이 | 4구 | 타나베 쿠마이치 | ||||||||
5구 | 타카하시 미츠이 | 6구 | 이토 토스케 | |||||||||
7구 | 마루야마 사가이치로 | 8구 | 타카하시 킨지로 | 10구 | 아오키 코타로 | |||||||
11구 | 타케다 토쿠사부로 | 12구 | 스즈키 요시타카 | 13구 | 야마모토 테이지로 | |||||||
도야마현 | 1구 | 타카미 유키미치 | 2구 | 칸노 덴에몬 | 4구 | 요네자와 요지 | ||||||
5구 | 우에노 야스타로 | 6구 | 히로세 시게유키 | |||||||||
이시카와현 | 2구 | 니시무라 마사노리 | 3구 | 칸다 시게요시 | 4구 | 요네다 미노루 | ||||||
5구 | 마스야 히데지 | |||||||||||
후쿠이현 | 1구 | 야마모토 죠타로 | 2구 | 야나기하라 큐베 | 3구 | 노무라 칸자에몬 | 4구 | 타카시마 시치로에몬 | ||||
5구 | 카와사키 키요시 | |||||||||||
나가노현 | 1구 | 코사카 준조 | 3구 | 하나오카 지로 | 4구 | 오다기리 반타로 | ||||||
7구 | 츠카하라 카토 | 9구 | 사토 토라타로 | |||||||||
10구 | 오가와 헤이키치 | |||||||||||
기후현 | 1구 | 야마다 나가토시 | 2구 | 키무라 사쿠지로 | 4구 | 카와무라 카즈로 | 다이도지 요시타카 | |||||
6구 | 비키타 에이키치 | 7구 | 노로 슌조 | 9구 | 마키노 료조 | |||||||
시즈오카현 | 3구 | 미야자키 유타로 | 4구 | 키요미즈 야스 | 5구 | 이와사키 이사오 | ||||||
7구 | 마츠우라 고헤 | 8구 | 키타이 하치메 | |||||||||
9구 | 이케다 이노조 | 10구 | 코이즈미 사쿠타로 | |||||||||
아이치현 | 1구 | 카토 시게조 | 4구 | 시모데 타미요시 | 5구 | 하타노 키우에몬 | 6구 | 야마모토 세이 | 7구 | 타키 마사오 | ||
9구 | 시미즈 이치타로 | 11구 | 사이토 와시타로 | |||||||||
12구 | 마이타 토시자부로 | 13구 | 요시하라 유타로 | |||||||||
미에현 | 5구 | 아마하루 분에이 | 이사카 히데요시 | 6구 | 카토 쿠메시로 | |||||||
9구 | 이와모토 헤이조 | |||||||||||
시가현 | 2구 | 야스하라 진베 | 3구 | 이노우에 케이노스케 | 5구 | 니시무라 이료 | ||||||
6구 | 나카무라 키헤 | |||||||||||
교토부 | 1구 | 타케가미 토지 | 3구 | 카자마 하치자에몬 | ||||||||
4구 | 나가타 토조 | 5구 | 오쿠 사부로 | 6구 | 오시마 지츠타로 | |||||||
오사카부 | 1구 | 히구치 이노스케 | 3구 | 나카하시 토쿠고로 | 4구 | 아카다 사 | 5구 | 야마구치 요이치 | ||||
7구 | 우에바 헤이 | 8구 | 이와사키 코지로 | |||||||||
11구 | 이사카 토요미츠 | |||||||||||
효고현 | 1구 | 츠보타 쥬 | 2구 | 키쿠카와 소키치 | 7구 | 키노시타 젠자부로 | 8구 | 타키 쿠메지로 |
=== 헌정회 ===
제1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가토 다카오키를 총재로, 고이즈미 마타지로를 간사장으로 하는 헌정회는 가나가와현 제2구와 미에현 제8구의 오자키 유키오 등이 당선되었다.
=== 입헌국민당 ===
입헌국민당은 제1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이누카이 쓰요시 총재, 스즈키 우메시로 간사장(도쿄부 1구), 하마다 쿠니마츠(미에현 3구) 등이 당선되었다.
선거구 | 성명 |
---|---|
아키타현 제7구 | 모가미 나오요시 |
야마가타현 제5구 | 이시카와 쵸우에몬 |
도쿄부 제1구 | 스즈키 우메시로 |
도쿄부 제4구 | 세키 나오히코 |
도쿄부 제5구 | 곤도 타츠지 |
도쿄부 제8구 | 고지마 카즈오 |
니가타현 제3구 | 쿠라이시 토모조 |
니가타현 제5구 | 나가바 류타로 |
니가타현 제12구 | 토미나가 코타로 |
나가노현 제8구 | 우에하라 에츠지로 |
시즈오카현 제2구 | 타카야나기 카쿠타로 |
아이치현 제2구 | 오구치 키로쿠 |
미에현 제3구 | 하마다 쿠니마츠 |
미에현 제10구 | 후쿠치 센키치 |
교토부 제2구 | 와타나베 아키라 |
오사카부 제1구 | 이타노 토모조 |
오사카부 제3구 | 키요세 이치로 |
오사카부 제4구 | 무라타 토라노스케 |
효고현 제1구 | 스나타 시게마사 |
효고현 제6구 | 나카가와 코타로 |
효고현 제11구 | 도이 곤다이 |
4. 1. 입헌정우회
하라 다카시(이와테현 1구)는 입헌정우회의 총재였다. 간사장은 모치즈키 게이스케, 나가노현 10구에서 당선된 오가와 헤이키치등이 주요 의원이었다.홋카이도 | 6구 | 오카다 이타로 | 7구 | 마츠미 키요타 | 이토 히로테키 | 8구 | 토부 | 오쿠보 토라키치 | ||||
---|---|---|---|---|---|---|---|---|---|---|---|---|
9구 | 키노시타 세이타로 | 10구 | 쿠리바야시 고사쿠 | 11구 | 쿠로즈미 나리아키 | 12구 | 나카니시 로쿠사부로 | |||||
아오모리현 | 1구 | 키타야마 이치로 | 3구 | 우노 유사쿠 | 4구 | 하라다 토지 | 5구 | 아베 타케오 | ||||
6구 | 노무라 지사부로 | 7구 | 우메다 키요시 | |||||||||
이와테현 | 1구 | 하라 게이 | 2구 | 스즈키 이와오 | 3구 | 쿠지 칸이치 | 4구 | 키쿠치 쵸우에몬 | 5구 | 히로세 타메히사 | ||
6구 | 시가 와타리 | 7구 | 사토 료헤이 | |||||||||
미야기현 | 1구 | 이자와 헤이자에몬 | 2구 | 스가와라 덴 | 3구 | 노소에 시게카즈 | 4구 | 나카지마 호로쿠 | 5구 | 사와 키타로 | ||
7구 | 엔도 료키치 | |||||||||||
아키타현 | 1구 | 다나카 류조 | 2구 | 이케다 카메지 | 3구 | 타카하시 모토키치 | 4구 | 나리타 나오이치로 | ||||
6구 | 사카키다 세이베 | |||||||||||
야마가타현 | 1구 | 토가리 켄노스케 | 3구 | 니시자와 사다키치 | 4구 | 타카하시 타츠지 | ||||||
5구 | 쿠마가이 나오타 | 츠루미 코타로 | 6구 | 타카하시 젠고로 | ||||||||
후쿠시마현 | 1구 | 타키기 사부로베 | 3구 | 호리키리 젠베 | 4구 | 카와구치 세이 | 8구 | 핫타 소키치 | 9구 | 시라이 히로유키 | ||
10구 | 마츠모토 마고에몬 | |||||||||||
이바라키현 | 1구 | 오야마다 신조 | 2구 | 야츠 신하치로 | 3구 | 네모토 타다시 | 4구 | 이시이 사부로 | ||||
5구 | 미야코 케이 | 6구 | 이치무라 사다조 | 7구 | 스즈키 죠조 | 8구 | 타카야나기 준노스케 | 9구 | 타카노 타케시 | |||
10구 | 고쿠보 키시치 | |||||||||||
도치기현 | 1구 | 우에타케 류자부로 | 2구 | 이시카와 겐조 | 3구 | 토모나가 곡삼랑 | 4구 | 하타노 죠고로 | 타무라 준노스케 | |||
5구 | 마츠오카 슌조 | 7구 | 요코타 센노스케 | |||||||||
군마현 | 3구 | 무토 킨키치 | 4구 | 이마이즈미 카이치로 | 5구 | 이마이 이마스케 | 6구 | 사이토 토시오 | ||||
사이타마현 | 1구 | 하타 토요스케 | 2구 | 카스야 요시조 | 3구 | 타카다 료헤이 | 하세가와 무네하루 | 4구 | 야마자키 타케시 | 5구 | 사시다 요시오 | |
6구 | 타츠노 슈이치로 | |||||||||||
지바현 | 1구 | 나카야마 사시 | 2구 | 요시우에 쇼이치로 | 3구 | 혼다 사다지로 | 5구 | 하마구치 키치베 | ||||
6구 | 우자와 소메이 | 7구 | 니시카와 요시카도 | 8구 | 스즈키 타카시 | |||||||
9구 | 타케자와 타이치 | |||||||||||
가나가와현 | 1구 | 와카오 이쿠조 | 5구 | 요시노 코이치로 | 6구 | 코시오 하치로에몬 | 7구 | 모리 카쿠 | ||||
야마나시현 | 2구 | 이이지마 노부아키 | 3구 | 아나미즈 요시치 | 5구 | 미에도 히코타로 | ||||||
도쿄부 | 6구 | 미야자키 산노스케 | 8구 | 타카하시 요시노부 | 10구 | 하토야마 이치로 | ||||||
13구 | 츠치야 오키 | 하세바 아츠시 | 14구 | 마에다 마이조 | 15구 | 나카지마 모리토시 | 16구 | 우치야마 야스베 | 아키모토 키시치 | |||
니가타현 | 2구 | 키무라 세이 | 4구 | 타나베 쿠마이치 | ||||||||
5구 | 타카하시 미츠이 | 6구 | 이토 토스케 | |||||||||
7구 | 마루야마 사가이치로 | 8구 | 타카하시 킨지로 | 10구 | 아오키 코타로 | |||||||
11구 | 타케다 토쿠사부로 | 12구 | 스즈키 요시타카 | 13구 | 야마모토 테이지로 | |||||||
도야마현 | 1구 | 타카미 유키미치 | 2구 | 칸노 덴에몬 | 4구 | 요네자와 요지 | ||||||
5구 | 우에노 야스타로 | 6구 | 히로세 시게유키 | |||||||||
이시카와현 | 2구 | 니시무라 마사노리 | 3구 | 칸다 시게요시 | 4구 | 요네다 미노루 | ||||||
5구 | 마스야 히데지 | |||||||||||
후쿠이현 | 1구 | 야마모토 죠타로 | 2구 | 야나기하라 큐베 | 3구 | 노무라 칸자에몬 | 4구 | 타카시마 시치로에몬 | ||||
5구 | 카와사키 키요시 | |||||||||||
나가노현 | 1구 | 코사카 준조 | 3구 | 하나오카 지로 | 4구 | 오다기리 반타로 | ||||||
7구 | 츠카하라 카토 | 9구 | 사토 토라타로 | |||||||||
10구 | 오가와 헤이키치 | |||||||||||
기후현 | 1구 | 야마다 나가토시 | 2구 | 키무라 사쿠지로 | 4구 | 카와무라 카즈로 | 다이도지 요시타카 | |||||
6구 | 비키타 에이키치 | 7구 | 노로 슌조 | 9구 | 마키노 료조 | |||||||
시즈오카현 | 3구 | 미야자키 유타로 | 4구 | 키요미즈 야스 | 5구 | 이와사키 이사오 | ||||||
7구 | 마츠우라 고헤 | 8구 | 키타이 하치메 | |||||||||
9구 | 이케다 이노조 | 10구 | 코이즈미 사쿠타로 | |||||||||
아이치현 | 1구 | 카토 시게조 | 4구 | 시모데 타미요시 | 5구 | 하타노 키우에몬 | 6구 | 야마모토 세이 | 7구 | 타키 마사오 | ||
9구 | 시미즈 이치타로 | 11구 | 사이토 와시타로 | |||||||||
12구 | 마이타 토시자부로 | 13구 | 요시하라 유타로 | |||||||||
미에현 | 5구 | 아마하루 분에이 | 이사카 히데요시 | 6구 | 카토 쿠메시로 | |||||||
9구 | 이와모토 헤이조 | |||||||||||
시가현 | 2구 | 야스하라 진베 | 3구 | 이노우에 케이노스케 | 5구 | 니시무라 이료 | ||||||
6구 | 나카무라 키헤 | |||||||||||
교토부 | 1구 | 타케가미 토지 | 3구 | 카자마 하치자에몬 | ||||||||
4구 | 나가타 토조 | 5구 | 오쿠 사부로 | 6구 | 오시마 지츠타로 | |||||||
오사카부 | 1구 | 히구치 이노스케 | 3구 | 나카하시 토쿠고로 | 4구 | 아카다 사 | 5구 | 야마구치 요이치 | ||||
7구 | 우에바 헤이 | 8구 | 이와사키 코지로 | |||||||||
11구 | 이사카 토요미츠 | |||||||||||
효고현 | 1구 | 츠보타 쥬 | 2구 | 키쿠카와 소키치 | 7구 | 키노시타 젠자부로 | 8구 | 타키 쿠메지로 |
4. 2. 헌정회
제1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가토 다카오키를 총재로, 고이즈미 마타지로를 간사장으로 하는 헌정회는 가나가와현 제2구와 미에현 제8구의 오자키 유키오 등이 당선되었다.4. 3. 입헌국민당
입헌국민당은 제1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이누카이 쓰요시 총재, 스즈키 우메시로 간사장(도쿄부 1구), 하마다 쿠니마츠(미에현 3구) 등이 당선되었다.선거구 | 성명 |
---|---|
아키타현 제7구 | 모가미 나오요시 |
야마가타현 제5구 | 이시카와 쵸우에몬 |
도쿄부 제1구 | 스즈키 우메시로 |
도쿄부 제4구 | 세키 나오히코 |
도쿄부 제5구 | 곤도 타츠지 |
도쿄부 제8구 | 고지마 카즈오 |
니가타현 제3구 | 쿠라이시 토모조 |
니가타현 제5구 | 나가바 류타로 |
니가타현 제12구 | 토미나가 코타로 |
나가노현 제8구 | 우에하라 에츠지로 |
시즈오카현 제2구 | 타카야나기 카쿠타로 |
아이치현 제2구 | 오구치 키로쿠 |
미에현 제3구 | 하마다 쿠니마츠 |
미에현 제10구 | 후쿠치 센키치 |
교토부 제2구 | 와타나베 아키라 |
오사카부 제1구 | 이타노 토모조 |
오사카부 제3구 | 키요세 이치로 |
오사카부 제4구 | 무라타 토라노스케 |
효고현 제1구 | 스나타 시게마사 |
효고현 제6구 | 나카가와 코타로 |
효고현 제11구 | 도이 곤다이 |
5. 선거 이후
5. 1. 정계 개편
5. 2. 한일 관계에 미친 영향
6. 평가
참조
[1]
서적
The International Almanac of Electoral History
Macmillan
1991
[2]
서적
[3]
법률
衆議院議員選挙法中改正法律(大正8年法律第60号)による改正後の衆議院議員選挙法(明治33年法律第73号)別表
[4]
서적
議会制度百年史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